finance.naver.com/item/board_read.naver?code=002710&nid=254006424&st=&sw=&page=1
1 Users
0 Comments
1 Highlights
0 Notes
Tags
Top Highlights
SNE리서치의 전망에 의하면 원통형 배터리시장은 2020년 이후 10년간 연평균성장률 (CAGR) 39.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원통형 배터리시장 주요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 파나소닉, 삼성SDI, 테슬라 등의 증설투자계획에 따르면 2025년 원통형 배터리 총 생산능력은 528Gwh에 달할 전망이며, 이는 SNE리서치가 전망한 2025년 284Gwh보 다 거의 두배에 육박하는 수치이다. 니켈도금강판 원통형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Teslar,LG에너지솔루션,삼성SDI,CATL,파나소닉,루시드,리비안,신규진입 전기차 스타트업등 원통형배터리를 채택하는 기업들이 증가추세이다. BMW,볼보, GM, 스텔란티스도 원통형 배터리 채택을 확정하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수요는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시장조사기관들은 전망하고 있다. 니켈도금강판 전용라인 증설이후 연간 생산능력이 20만톤으로 증가하게 되면 사실상 글로벌 최대업체로 부상하게 될 전망이다. 2차전지 소재업종의 경우 배터리업체들이 협력업체를 이원화, 삼원화하여 공급받고 있으나, 동사의 경우 니켈 도금강판 부문에서 2009년 2차전지 시장에 진출한 이후 15년째 독점업체이다. 니켈도금강판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포스코만 공급하는 석도원판(BP)이나 니켈도금강판에 특화된 냉연강판을 확보해야 하고, 원소재를 확보한다 하더라도 표면처리도금 기술력, 시장 레퍼런스, 기계설비가 갖춰져도 직원들의 인적자산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시장진입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전기차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23년도 하반기부터 고실적 행진이 시작된다.2차전지 소재주 중 가장 저평가된 소재기업임. 23년 에프엔가이드 기준 yoy OP=+59%,EPS=+39%로 이익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다. 2023년 기준 PER=25배로 2차전지 소재기업들의 23년 PER=50배~95배를 적용하면 TP=10만원~중장기적으로 20만원도 가능하다.
Glasp is a social web highlighter that people can highlight and organize quotes and thoughts from the web, and access other like-minded people’s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