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studies.science.blog/2020/10/13/%EC%8B%AC%EB%A6%AC%EC%B2%A0%ED%95%99-%EB%A7%88%EC%9D%8C%EC%97%90-%EA%B4%80%ED%95%9C-%EB%91%90-%EC%9E%85%EC%9E%A5-%EC%9D%B4%EC%9B%90%EB%A1%A0%EA%B3%BC-%EB%AC%BC%EB%A6%AC%EC%A3%BC%EC%9D%98/
1 Users
0 Comments
55 Highlights
0 Notes
Tags
Top Highlights
환원적 물리주의(환원적 물리주의, 유형 물리주의)
수반은 ‘M에서 변화가 있다면 P에서도 변화가 있다’, 단순한 공변관계
스스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 의존하지 않고도(데카르트)
인간은 그 두 실체의 결합체이다, 물질적 실체인 몸과 비물질적 실체인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을 마음을 가지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동물과는 다른 종류의 존재자다, 마음이 있기 때문에 인간은 다양한 정신 능력(정신 현상)을 가지는 것
속성 개념과 비교하여 이해; ‘빨강’이라는 속성은 그 속성을 예화하는 대상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
현대 심리철학자들은 세계에는 오직 물질적인 것들만 존재한다고 생각함 (세계에 대한 견해)
관념론(idealism); 이 세계에는 비물질적인 실체만 있다(영혼만 있다)
인간은 물리적인 실체 그 자체, 그러나 인간이 마음을 갖는다는 것을 부정하는 건 아님
인간은 다른 물질적 실체들과는 다르게 특별한 정신적 속성(마음)을 가지는 물리적 존재자
마음을 갖는다라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견해가 다른 것, 인간이 근본적으로 마음을 갖는다는 걸 부정하지 않음
“마음”에 해당하는 어떤 대상이 있어서, 그런 실체를 가진다고 이해할 필요가 없음
모종의 실체를 가정할 필요 없이, 존재하는 실체는 물질적인 실체인 인간의 몸/두뇌밖에 없고, 그것이 가지는 특별한 종류의 속성이 마음
‘마음은 두뇌다’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마음이 두뇌라는 실체를 가진다고 이해할 필요는 없음
산책’, ‘춤’이 명사라고 해서 그것이 어떤 별개의 대상을 일컫는 것이 아님, 육체가 하는 활동을 가리킴
속성은 보편적인 것 ex. ‘빨간색임
하나의 속성이 존재하고, 여러 대상이 각각 그 속성을 예화할 수 있음(그것이 하나의 상태), 같은 속성임에도 다른 대상이 예화하면 다른 상태
∴ 인간이 정신적인 능력을 갖는다는 것이 무엇이냐에 대한 실체이원론과 물리주의의 근본적인 입장 차이
실체이원론; 비물리적 실체인 영혼만 정신적 속성을 예화할 수 있지, 물질적인 몸은 절대 정신적 속성을 예화할 수 없다
물리주의; 얼마든지 물리적 실체도 정신적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화할 수 있다
Glasp is a social web highlighter that people can highlight and organize quotes and thoughts from the web, and access other like-minded people’s learning.